[질문]
안녕하세요.
이번에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Klaytn의 KIP-17을 이용해 NFT를 구현하고자 공부를 하고 있던 중, Klip 서비스를 발견했습니다.
클립의 문서상으로는 NFT 발행부터 관리, 전송(거래) 등 간단한 NFT 관련 기능들이 모두 구현되어있다고 생각이 되었습니다.
저희 서비스에서는 간단한 형태의 NFT의 발행과 사용자간의 전송 및 거래만 이루어지면 되기에, 클립의 api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죠.
그렇다면 클레이튼 api를 이용할 필요 없이, 클립만을 이용해도 되는건가 의문이 들었습니다.
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.
-
클레이튼 api 없이 클립 api만으로도 온전한 NFT 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습니까? (블록체인 메인넷에 NFT 발행, 엔드유저 지갑 생성, 엔드유저간의 NFT 거래 등)
-
만약 온전한 플로우를 구축할 수 없다면, 클립은 클레이튼과 비교했을 때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,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까?
-
만약 온전한 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다면, 클립에서 NFT를 거래할 때 블록체인 거래 수수료 등은 어떻게 처리되는 겁니까?
클레이튼과 클립에 이해가 부족하여 질문이 난잡하네요. 답변 기다리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[답변]
안녕하세요.
- 정확히 어떤 서비스를 기획하고 계신지 몰라서 정확한 답변은 어렵지만 나열해주신 NFT 발행, 조회, 지갑 생성, 전송 또는 스왑은 Klip API를 통해서 구현하실 수 있습니다. 다만 card minting API는 사전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입 조건과 절차는 다음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. Introduction - Klip Docs
- Klip API는 결국 KAS (klaytn api service)를 통해서 구현했기 때문에, FT와 연동한 구현이나 다양한 필터링를 통한 NFT 보유 내역 조회 등이 필요하시다면 KAS를 활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.
- App2App API를 사용하시는 경우 수수료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부담하며 월 30회까지 트랜잭션 서명을 무료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감사합니다.